-
PET의 품질 항목에는 왜 MI(Melt Index)가 없본인요?카테고리 없음 2020. 3. 11. 12:38
안녕하세요. 알슈페태, 사이언입니다.아는 지인이 PET의 물성 항목에는 MI가 없냐고 문의한 적이 있는데, 이 분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LDPE(저밀도 폴리에틸렌)를 다루는 분이었습니다. 이점에대해서거의매일설명합니다. 먼저 MI라고 하는 물성 항목에 대해서 가장 먼저 설명을 하겠습니다. MI는 Melt Index라는 용어의 약어로 용융지수라고 합니다. 그래서 MFI라고도 하는데, 멜트 Flow Index의 유행어입니다. 플라스틱 가공에 있어서, 즉 사출이 본인의 압출에 있어서 공정성을 포현함에 있어 용융의 흐름성과 관련된 측면이 크므로, MF가 보다 현실적인 포현이 됩니다. 우리 내용으로는 용융 흐름 지수라고 합니다.MFI의 측정은 사진 같은 장치로 좁은 원통형의 배럴에 각 플라스틱 성형 또는 pellet을 채우고 1쵸은시각, 적정 온도로 가열해서 녹인 뒤(뒤)에 2.16kg짜리 추에 피스톤을 밀어 주며, 하단의 홀 내내 10분간 빠지고 자신 오는 용융된 수지의 질량을 측정하게 되지만 10분간 측정하지 않고 15~30초 측정하고 10분으로 환산할 1반 적입니다.
>
PE, PP 같은 수지는 200~230℃ 정도로 측정을 하고, PET의 경우에는 260~280℃에서 측정하게 됩니다. PET는 Bottle용 grade, IV 0.80㎗/g의 신재 위 경우는 잘 건조하고 265℃에서 측정하면 20~30 g/10min. 수준인데요. (제습 건조 후 수분율 50ppm이하의 경우)1 정하게 잘 제습 건조하고 수분율을 관리하지 않으면, 10g/10min. 이상으로 큰 편차가 발발합니다. 왜냐하면 PET은 건조를 잘 1결정하도록 하고 측정하는 동안에도 1 정하게 수분 유출을 방지하지 않으면 용해 중에 가수 분해에 의해서 분자량이 감소(분자 사슬 절단의 발발에 되고, MFI이 데당이 높아지기 때문에 PET제품의 품질 대표값에서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이에 PET의 경우 수분의 영향을 적게 받는 노하우로 PET의 녹기 쉬운 솔벤트에 용해하여 용액의 흐름성을 측정하여 점도수치로 환산한 IV(Intrinsic Viscosity, 고유점도)를 품질항목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그럼 PET은 절대로 미드필더를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까?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PET을 콤파웅디은의 같은 용도로 사용할 때 철저한 MFI관리가 필요하다면, 초기 수분율과 MFI수치를 핵심 관리 품질 항목으로 잡고, 건조 장치/MFI측정 장치와 측정법을 관리하고 1 정하게 측정하게 품질 관리 공정을 고도화하면 됩니다. 미네랄과 유리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경우는 저런 처음의 가물이 불순물이 되기 때문에 솔벤트 용해법으로 정확하게 IV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용도에 따라 필요하다면 MFI를 품질 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알기쉬운 PET테크놀로지, 알슈페테~~사이언이었습니다.